#1. Folate 와 folic acid
Folic acid 은 pteridine, paba, glutamate이 결합된 pteroylglutamic acid을 기본 구조로 하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Folate는 단일 탄소단위를 운반하는 조효소 역할을 하므로 유도체들의 종류가 많으며, 이들을 모두 엽산으로 일컫는다
즉, Folate는 음식물이나 생명체에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 B군의 통칭하여 이르는 말이다.
식품에 들어있는 엽산의 주된 형태는 환원형(tetrahydrofolate, THF)으로서, 주로 2-8개의 글루탐산이 γ-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프테로일폴리글루탐산(pteroylpolyglutamate)이다.
또한 엽산은 다양한 형태의 단일 탄소단위를 운반하는 조효소 역할을 하므로 유도체들의 종류가 많으며, 이들을 모두 엽산(folate)으로 일컫는다.
엽산 보충제나 엽산 강화식품에는 안정한 형태인 folic acid로 들어 있으며, 일부 엽산 보충제에는 5-메틸-THF(메틸엽산) 또는 5-포밀-THF(folinic acid)의 형태로 들어 있다
식품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엽산이 들어 있으며, 자연적으로 들어 있는 엽산은 약50% 정도 흡수된다.
엽산 보충제에 들어 있는 folic acid 는 공복에 섭취하는 경우에는 100% 흡수되지만,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는 약 85%정도 흡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엽산의 생체내 이용률은 섭취한 엽산중에서 체내에 흡수되어 대사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엽산의 비율이다. 보충제에 들어 있는 folic acid는 식품 중에 들어 있는 folate에 비해 1.7배정도 생체내 이용률이 높다. 이를 고려하여 식이엽산당량(Dietary Folate Equivalent, DFE)을 만들어 필요량을 환산하여 표시한다.
식품 중 엽산 1 μg=1.0 μg DFE
강화식품 또는 식품과 함께 섭취한 보충제 중의 엽산 1 μg=1.7 μg DFE
빈속에 섭취한 보충제 중의 엽산 1 μg=2.0 μg DFE
#2. 한국인의 1일 엽산 섭취기준
성별 | 연령 | 엽산(µg DFE/일) 1) | |||
평균필요량 | 권장섭취량 | 충분섭취량 | 상한섭취량 2) | ||
영아 | 0-5(개월) | 65 | |||
6-11 | 90 | ||||
유아 | 1-2(세) | 120 | 150 | 300 | |
3-5 | 150 | 180 | 400 | ||
남자 | 6-8(세) | 180 | 220 | 500 | |
9-11 | 250 | 300 | 600 | ||
12-14 | 300 | 360 | 800 | ||
15-18 | 330 | 400 | 900 | ||
19-29 | 320 | 400 | 1,000 | ||
30-49 | 320 | 400 | 1,000 | ||
50-64 | 320 | 400 | 1,000 | ||
65-74 | 320 | 400 | 1,000 | ||
75이상 | 320 | 400 | 1,000 | ||
여자 | 6-8(세) | 180 | 220 | 500 | |
9-11 | 250 | 300 | 600 | ||
12-14 | 300 | 360 | 800 | ||
15-18 | 330 | 400 | 900 | ||
19-29 | 320 | 400 | 1,000 | ||
30-49 | 320 | 400 | 1,000 | ||
50-64 | 320 | 400 | 1,000 | ||
65-74 | 320 | 400 | 1,000 | ||
75이상 | 320 | 400 | 1,000 | ||
임신부 | +200 | +220 | 1,000 | ||
수유부 | +130 | +150 | 1,000 |
1) Dietary Folate Equivalents, 가임기 여성의 경우 400 μg/일의 엽산보충제 섭취를 권장함.
2) 엽산의 상한섭취량은 보충제 또는 강화식품의 형태로 섭취한 μg/일에 해당됨.
#2. 엽산 고함량 식품(가식부,可食部 100g당 함량)
식품명(국문) | 엽산 (μg DFE) |
거위 부산물, 간, 생것 | 738 |
고사리, 삶아서 말린것 | 398 |
국화꽃, 말린것 | 370 |
김, 김밥용김, 말린것 | 1155 |
김, 맛김, 조미, 구운것 | 346 |
꽃송이버섯, 말린것 | 435 |
꾸지뽕, 잎, 말린것 | 596 |
녹두, 말린것 | 428 |
녹차, 가루 | 518 |
녹차, 잎, 말린것 | 1277 |
녹차, 현미, 티백 | 516 |
누에, 번데기, 생것 | 287 |
느타리버섯, 말린것 | 743 |
느타리버섯, 말린것(자연건조) | 734 |
단백질 보충제, 가루 | 340 |
단백질 보충제, 저지방, 가루 | 476 |
닭 부산물, 간, 삶은것 | 578 |
동부, 말린것 | 402 |
동부, 미얀마산, 말린것 | 556 |
땅콩, 가루 | 282 |
마름, 생것 | 430 |
머위, 삶아서 말린것 | 477 |
미역, 말린것 | 283 |
배추, 우거지, 말린것 | 308 |
보리, 큰알보리, 순, 동결건조 | 1181 |
송아지 부산물, 미국산, 간, 삶은것 | 331 |
시리얼, 쌀 | 933 |
시리얼, 옥수수, 그래놀라, 코코넛 | 570 |
시리얼, 옥수수, 아몬드 | 335 |
시리얼, 현미 | 803 |
쑥, 말린것 | 740 |
쑥갓, 데친것 | 304 |
양송이버섯, 말린것(자연건조) | 284 |
유채, 동채, 데친것 | 294 |
유채, 잎, 데친것 | 344 |
유채, 잎, 생것 | 299 |
잠두, 생것 | 423 |
죽순, 순, 삶아서 말린것 | 408 |
쥐눈이콩(검정소립콩), 말린것 | 578 |
참죽나물, 삶아서 말린것 | 664 |
취나물, 참취, 삶아서 말린것 | 456 |
콩(대두), 서리태, 말린것 | 485 |
콩(대두), 서리태, 볶은것 | 433 |
콩(대두), 서리태, 삶은것 | 359 |
콩(대두), 흑태, 말린것 | 485 |
콩(대두), 흑태, 볶은것 | 433 |
콩(대두), 흑태, 삶은것 | 359 |
큰느타리버섯(새송이버섯), 가루 | 400 |
큰느타리버섯(새송이버섯), 말린것 | 445 |
큰느타리버섯(새송이버섯), 말린것(자연건조) | 420 |
팽창제, 효모, 말린것 | 3800 |
표고버섯, 배지재배, 갓, 말린것 | 409 |
호박, 애호박, 말린것 | 326 |
Reference
1)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 국가표준식품성분 Database 9.3
'한국인 섭취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아신- 한국인의 1일 니아신 섭취기준 (0) | 2021.07.21 |
---|---|
칼륨 - 한국인의 1일 칼륨 섭취기준 (0) | 2021.07.21 |
인 - 한국인의 1일 인 섭취기준 (0) | 2021.07.20 |
비타민B6- 한국인의 1일 비타민 B6 섭취기준 (0) | 2021.07.16 |
비타민B12 - 한국인의 1일 비타민 B12 섭취기준 (0) | 2021.07.15 |
댓글